잠복결핵이란 무엇일까요?
결핵균에 감염되어 있지만 몸 속에 들어온 결핵균이 활동하지 않아 결핵으로 발병하지 않은 샅래를 의미합니다.
결핵과 잠복결핵은 차이가 있습니다 .
결핵 | 잠복결핵감염 | |
증상유무 | 2주이상 기침, 발열 체중 감소 등 |
증상없음 |
전염성유무 | 기침,대화를 통해 공기중으로 전파 | 전염성 없음 |
환자여부 | 환자 | 환자아님 |
치료 필요성 | 반드시 치료 필요 | 치료 권고 |
검사방법 | 흉부x선검사,객담검사 | 면역학적검사 |
잠복결핵으로 10%는 활동성 결핵으로 발병가능
우리나라는 OECD국가 중 결핵 발생률 1위, 하루 평균 63명의 결핵 환자가 발생합니다 .
결핵균 감염시 총 10%정도에서 결핵으로 발병하며 일반적으로 결핵균에 감염되면 2년 이내에 약 5%가 결핵으로 발병하고 그 이후 평생에 걸쳐 약 5% 더 발병하여 총 10% 정도에서 결핵으로 발병합니다 .
잠복 결핵감염 치료를 완료하면 83% 결핵이 예방됩니다 .
잠복 결핵감염 양성자가 치료를 받을 경우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에 비해 활동성 결핵 발생률을 약 83% 낮출 수 있습니다 .
잠복 결핵감염이라면 무료로 치료하기
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의사 상담에 따라 세 가지 요법 중 한가지 선택
1. 이소니아지드 9개월
2.리팜핀 4개월
3.이소니아지드 +리팜핀 3개월
잠복결핵감염 치료비에 대해서는 무료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.
보건소 또는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
+잠복 결혁감염 치료비는 산정특례 및 의료급여 기금에서 본인 부담금 전액 면제, 단 비급여 100분의100본인부담금, 예삐급여,상급병실료(2-3인실) 및 본인 부담률이 별도로 정해진 항복은 제외됩니다 .
생활속 결핵 예방 수칙
꾸준한 운동과 균형있는 영양섭취로 건강한 체력 유지하기 . 2주이상 기침 ,가래가 지속되면 의료기관을 방문해보기, 결핵환자와 접촉시 증상여부와 상관없이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사 진행하기, 올바른 기침예절 실철하기가 있습니다 .
올바른 기침 예절을 실천하는 방법으로는 기침, 재채기를 할 땐 손이 아닌,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는것이 좋습니다 .
휴지가 없을 시에는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합니다. 기침 재채기 후에는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을 씻어야 합니다 .